본문 바로가기
스피노자

코로나19가 알려준 자본주의 사회의 일상

by 홍차영차 2020. 3. 17.

코로나19가 알려준 (몰랐지만 알고 있었던) 자본주의 사회의 일상



자본주의 사회 속에서 태어나고 자라고 죽는 상황 속에서 자본주의가 만들어낸 일면을 구체적으로 찾아내기는 그리 쉽지 않다. 자본주의가 만들어낸 어두운 면들은 밝고 깨끗해 보이는 천천히 조금씩 포장지에 가려져 버렸고, 우리 눈에 보이는 것들은 자본주의에서 이득을 본다(고 스스로 상상하)는 사람들의 화려한 일면들이기 때문이다.

우연적 마주침에서 세계사는 바뀐다고 해야할까. 아니면 스피노자적으로 이것 역시 인과적 필연성으로 나타난 것이라고 말해야 할까. 코로나19는 예상치 못한 자본주의 사회의 일상을 민낯 그대로 보여주고 있고, 코로나19는 자본주의 사회가 그동안 만들어놓은 것에 대한 인과적 필연성으로 생산되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구로 콜센터 129명의 집단 간염

놀라워하고 있지만, 이런 누구나 알고 있던 바로 전형적인 자본주의 일터의 모습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더 높은 효율과 이익을 뽑아내기 위해서는 어떤 것이든 가능하다. 아니 그런 방향을 강력히 추구한다. 개인당 1평도 되지 않는 공간 속에 더 많은 근로자를 배치하고 더 많은 서비스 혹은 영업을 추구하는 것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상식으로 알려져 있다.

콜센터뿐만이 아니다. 일반 회사의 경우도 마찬가지이고 창의적 발상이 중요하다고는 하지만 판교에 위치한 대부분의 벤처 기업도 여기에서 그리 벗어나 있지 않다. 누구라도 상식이라고 생각하는 공간적 공간, 하루 8시간의 노동, 점심시간 1시간은 현실 속에서는 그리 쉽게 형성되지 않는다.






쿠팡맨의 죽음

택배기사의 죽음 역시 우리가 예상치 못한 결과가 아니다. 여러번 고발 프로그램에서 보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달라지는 건 거의 없다. 역설적으로 코로나19의 사태가 길어지면서 사람들은 마트에 가서 장을 보는 대신 택배로 주문하고, 식당에 가서 밥을 먹기 보다는 배달을 시켜서 밥을 먹고 있다. 편안함과 안락함! 편하게 주문하고 안전하게 배달받는 것에 익숙해졌다. 하지만 이런 편안함이 어떻게 구성되고 만들어졌는지에 대해서는 관심을 갖지 않았다. 하지만 우리는 결코 몰랐다고 이야기할 수 없다.


이렇게 그냥 흘러가던 생활 속에서 코로나19는 자본주의 사회의 일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 초/중/고등학교와 대학교가 개학 연기는 그 부모들이 일하는 회사와 연결될 수밖에 없다. 모든 것이 문을 닫는 상황 속에서도 마지막까지 언급되지 않았던 학원과 회사도 이제는 휴강과 재택근무를 도입하거나 무급/유급 휴가를 시행한다. 그동안 신천지와 교회, 절에서 집단적인 모임을 하는 것에 대해서 비판이 일고 있다. 만약 집단적인 모임이 문제라면 가장 먼저 금지해야하는 것은 바로 회사다. 교회는 일주일에 한 번 2시간 정도밖에 모이지 않지만, 회사는 일주일에 5일 하루 최소 9시간 이상을 좁은 공간에서 함께 하고 있다. 하지만 어떤 미디어도 우리나라 30대 기업이나 100대 기업이 모두 문을 닫아야 한다고 말하는 사람은 없다. 먹고 살아야 한다는 당연한 이유때문일까. 정말 이 기업들이 모두 문을 닫으면 우리나라가 망하게 될까? 

우연에 의해서였든 필연에 의해서였던 우리 나라 근현대사에서 처음으로 노동자들은 강제적으로 일을 할 수 없는 상황에 처했다. 아마도 처음에는 회사가 가지 않는 아빠/엄마의 모습이 이상했을 것이다. 노동자  본인들도 일하러 가지 않는 자신의 모습에 놀라고 당황하지 않았을까. (나도 처음 일을 그만두고 낮에 길을 걷거나 사람을 만날 때 사회적 시선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다.) 하지만 그건 그리 이상한 일이 아니다. 일=돈으로 연결되는 시기는 역사적으로도 그리 길지 않았다. 돈을 버는 활동이 아닌 활동으로도 우리는 오랫동안 살아왔다. 또한 이제는 돈을 버는 활동과 그렇지 않은 활동을 구분하기는 그리 쉽지 않다. 네그리/하트가 사회적 공장, 사회적 노동을 이야기하지 않았던가. 네이버가 이렇게 큰 회사로 성장하고 막대한 이익을 얻고, 페이스북이 불과 10여년만에 세계 최고 기업이 된 것은 마크 주커버그의 아이디어와 기술력만이 아니었다. 사실 네이버 지식인에 댓글을 달면서 자신이 아는 것을 썼던 수천만의 네티즌, 페이스북에 가입해서 자발적으로 자신의 사진과 스토리를 입혀온 수억명의 네티즌들이 그 기업의 가치를 높여주었다. 놀면서 일한 것이 아니라 우리가 하는 모든 활동과 행위들은 모두 무언가를 생산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것을 어떻게 나누고 함께 살아갈지를 고민해야 한다.


추신.

자본주의는 이전에는 누구라도 누렸던 권리를 나누고 쪼개서 상품을 만드는 것 같다. 이전에 남향집에 살면서 햇볕을 받고, 마당에 나와서 빨래는 널고, 신선한 공기로 숨을 쉬는 것은 당연한 권리였다. 그런데 이제 똑같은 아파트에서 남향집은 더 높은 값에 팔리고, 신선한 공기를 마실려면 수십만원의 공기 청전기를 사야 한다. 언제부터 우리가 깨끗한 물, 밝은 햇빛, 신선한 공기를 살 수밖에 없었다. 분명 이런 부분에 대해서 요구하고 행동해야하지 않을까.


빛을 얼마나 더 많이 받을 수 있는가, 에비앙 물을 마실 수 있는지, 신선한 공기가 있는 지역에 살 수 있는지에 따라 달라지는 삶의 조건들을 자신의 능력 부족으로 탓해야 한다는 것은 정말 이상한 것 같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