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스토리

[루쉰읽기] 아침꽃 저녁에 줍다 1

by 홍차영차 2015. 11. 3.


과거의 거울에 비추어

- <아침 꽃 저녁에 줍다>- 


1924년은 군벌간의 전투가 가장 극심하게 일어났던 해였다. 그리고 1921년 창건된 중국공산당은 부르주아 세력과 연합하여 제국주의와 대항하라는 국제공산당의 요청에 따라서 1923년 국민당과 국공합작을 하게 된다. 당시 323명의 당원밖에 없던 공산당과 5만명의 당원을 가진 국민당과의 합작. 처음부터 불리한 합작이었던 국공합작은 결국 1927년 장제스가 주도하는 국민당 세력이 중국 초기 공산당 진영을 무력으로 진압하면서 5000여명의 희생자를 발생시킨 4.12 상하이 사건으로 마무리 된다. 

이처럼 중국이 괴이하고 난잡한 정치 상황을 겪고 있던 것과 마찬가지고 루쉰 역시 이 시기에 그의 생에 있어서 겪어야 할 끔찍한 사건들을 몸소 체험하고 있었다. 1925년 베이징여사대 사건에서 루쉰은 필묵뿐만 아니라  몸소 사건에 개입하였고, 11월에는 복교운동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하지만 노신은 이 사건 이후 현실과 타협하는 것이 아니라 더욱 호전적인 모습으로 바뀌어 가고 있었다. 1926년 자신의 제자 두 명이 죽게 되는 3.18 사건이 발생한 뒤 그는 이날을 “민국 이래 가장 어두운 날”이라고 표현했고 계속해서 군벌에 대한 공공연한 비난을 이어갔다. 루쉰은 결국 자신에게 내려진 체포령을 피하기 위해서 지속적인 도피 생활을 피할 수 없었다. 머리말에 쓰여진 것처럼 <아침 꽃 저녁에 줍다>는 이러한 도중에 쓰여진 잡감문이다. 첫째 두편은 베이징에서, 다음 세편은 피신 중에 있던 병원과 목공실, 나머지 다섯편은 샤먼 대학의 도서관에서.



잡감문과 소설

옮긴이는 <아침 꽃 저녁에 줍다>를 어떻게 보아야 하는지에 대해 루쉰의 내면적 기록과 외면적 표현의 중간 정도로 봐야 한다고 말한다. 쉬광핑과의 편지에는 당연히 그의 마음 속 고뇌가 분명히 드러나 있을 것이고, <페어플레이는 아직 이르다>와 같은 잡문은 외면적 사건 혹은 인물에 대한 확실한 외면적 의사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내면과 외면의 중간이라는 이 글들은 도대체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 걸까?

먼저 <아침 꽃 저녁에 줍다>라고 하는 전체 제목부터 살펴보자. 일반적으로 조화석습(朝花夕拾)의 뜻은 ‘여유를 갖고 내실을 기한다’라는 뜻이다. 루쉰은 이 글들을 다듬으면서 처음 제목으로 정했던 ‘옛 일을 다시 들추기’라는 제목을 ‘조화석습’으로 바꾼다. 현실의 “괴이하고 난잡한 생각”을 재현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말하면서. 루쉰은 현실에서 벌어지고 있는 사건들을 어떻게 봐야할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끊임없이 고민했던 것 같다. 3.18 사건이 일어나고 체포령이 난 이후에는 더욱 더 그랬을 것이다. 피신하는 도중에 여러 병원에 숨어 지내면서 그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곤 그것밖에 없지 않았을까. 생각하고 쓰고, 또 쓰는 일. 후회하는 것은 아니지만 루쉰은 자신이 하고 있는 일들을 새롭게 비춰보고 싶었을 것이다. 결국 그가 할 수 있는 일들은 자신의 과거를 돌아보면서 그 과거 속에서 현재를 비추고, 미래를 생각해 보고 싶었을 것이다. 현실을 피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을 더 적나라하게 살펴보기 위해서 그는 과거로 돌아가는 길을 찾았던 것 같다.


고양이를 미워하는 이유

“항상 필묵 다루기를 면치 못하는 처지”이기 때문에 루쉰은 항상 오해의 대상이었고, 비난의 대상이었다. 그렇기에 그가 하는 말들은 제대로 이해되지 않을 때가 너무나 많았다. 구체적인 상황에서 구체적인 의견을 피력했는데 사람들은 오로지 그의 손끝만을 처다보았다. 물에 젖은 개를 패야 한다던 루쉰이 고양이를 싫어한다니 결국 루쉰이 ‘개’가 아닌가라고 비난하고 있다. 이같은 비난이 일어나는 답답한 상황에 대해 루쉰은 잡감문을 통해 이야기하고 싶었다. 루쉰은 계속해서 소설과 잡감문을 쓰는데, 사람들에게 ‘거짓말도 얻어맞기도 싫었다’.


“어떤 집안에 사내 아이가 태어나 온 집안 식구들이 기뻐 했단다. (중략) 그런데 한 사람은 ‘이 아이는 틀림없이 죽을 것니다.’라고 말했어. 그는 온 식구들한테 흠씬 두들겨 맞고 쫓겨났어. 죽는 것은 필연이지만 부귀의 몸이 된다는 것은 거짓말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거짓말은 좋은 보답을 받았고, 필연은 얻어맞았다. 너는…….” “저는 거짓말도 하기 싫고 얻어맞기도 싫습니다. 선생님, 그러면 뭐라고 말해야 할까요?” “그렇다면 이렇게 말해야지- 허허, 참 이 아이는 정말……. 아이고, 참! 핫하하, 힛히히!”


루쉰이 고양이를 싫어하는 이유 역시 마찬가지다. 고양이가 그의 옆에서 울지 않았다면, 그가 기르던 귀여운 생쥐를 잡아먹지 않았다면 고양이를 싫어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가만히 있을 수 있겠는가? 혹여 나중에 알고보니 생쥐를 죽게 한 것이 고양이가 아니라 키다리 할멈이었다고 하더라도 그 당시에 내가 고양이를 때리고 괴롭힌 것은 어쩔수 없는 것 아닌가?

사람들은 무엇이 잘못된 것인지 분명히 알고 있다. 무엇이 진실이고 무엇이 거짓인지를. 하지만 사람들은 그 상황에 갇혀서 ‘진실’을 볼수가 없는 것이다. 사실 알고보면 루쉰이 고양이를 싫어하는 이유도 우습기 짝이 없는 것이다. 확실하게 고양이가 생쥐를 죽였는지 아닌지도 모르면서 루쉰은 어렸을 때부터 고양이를 싫어했고 미워했다. <토끼와 고양이>에 나온 것처럼 토끼 새끼를 고양이가 죽인 것도 루쉰은 보지 못했다. 그저 그렇게 믿을 뿐이다. 당시 나에게 무엇이 진실인지가 중요하지 않았다. 그때 루쉰은 그 상황 속에 갇혀 있었을 뿐이다. 루쉰에게 지금의 중국인들이 그런 것 같았다.


과거의 거울에 비추어

루쉰은 과거로 돌아가 옳다고 믿었던 것들을 다시금 돌아보려고 한다. 아이러니하게도 그가 언급하는 모든 것들은 그가 혐오하는 관습과 구지식이다. 하지만 루쉰은 이러한 관습과 추억들을 통해서 현재의 모습을 더 생생하게 볼 수 있기를 원한다. <키다리와 [산해경]>에서 항상 무시했던 키다리 할멈이 “생각지도 못한 일”을 말해 주었을 때, 그리고 “남들이 하려 하지 않는 일이거나 할 수 없는 일”들에 성공했을 때  그는 키다리 할멈을 존경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한다. <24효도>에서도 마찬가지다. 말도 안되는 이야기들이 ‘효’라는 이름으로 내려오고 있었다. 부모에게 효도하기 위해 아들을 묻어버리려 한다거나, 70 노인이 되어서 일부러 넘어지고 아이처럼 울음을 터뜨리는 것. 어른이 된 지금 루쉰은 당연히 이런 이야기들이 말이 안된다고 생각하지만 이런 이야기들은 분명히 그가 어렸을 적에 “어쩐지 할머니가 나와 같이 살 수 없는 사람으로, 적어도 나의 생명에 방해되는 사람으로 생각”하도록 영향을 끼쳤다.

이런 과거의 추억을 돌이켜 보니, 그 상황에 갇혀 있는다는 것이 이떤 것인지 바라볼 수 있다. 과거에는 보지 못했던 것을 볼 수 있게 된다. 현재의 모습 역시 마찬가지이다. 과거로 돌아가 현재의 모습을 바라보자. 어떻게 바라보든지 무고한 피를 흘리는 것은 정당화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아침꽃 저녁에 줍다>는 겪동하는 자신의 마음을 달래어 지금 그가 맞닥트린 현실을 좀 더 냉철하게 바라보고자 한 루쉰의 시도였다. 아마도 그는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1927년 이후 더욱 더 호전적이고 혁명적인 글과 일들을 할 수 있는 기반이 되지 않았을까 생각해본다. 함께 아침꽃을 저녁에 주어보고 싶다.




(수정할 부분이 많지만....)

2015. 10. 31




'북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영민의 <공부론> 1  (0) 2016.05.12
<들풀> 1  (0) 2015.11.12
목표물 없는 것 목표하기  (0) 2014.11.28
[17세기자연학] 캉디드 혹은 낙관주의  (0) 2014.01.15
축의 시대  (0) 2014.01.0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