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52

스피노자 개념 발명2 - 적합한 관념 스피노자 개념 발명 2 - 적합한 관념: 2부 스피노자는 데카르트, 라이프니츠와 함께 17세기를 대표하는 합리주의 철학자로 꼽힌다. 합리론자로서 스피노자가 자신의 주요 저작인 를 기하학적인 방식으로 논증했다는 것은 자연스러워 보인다. 그런데 그가 증명해가는 논증 방식이나 사례, 전제를 보면 그는 결코 평범한 인간이 삶 속에서 마주치는 경험들을 무시하지 않는다. 무시하기는 커녕 증명에 있어서 이러한 인간적 경험들은 각각의 논증에 중요한 전제들로 작동한다. 가령, 스피노자는 주변 어디를 찾아봐도 보이지 않는 이성적 인간을 모델로 놓고 ‘윤리학’의 문제를 풀어가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태생적으로 인간은 정념적 존재’라는 사실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면서 해결책을 찾는다. 스피노자는 이성적으로 완벽한 이상적 인간이 .. 2019. 10. 7.
스피노자 개념 발명1 - 속성 스피노자 개념 발명 1 - 속성: 1부 철학은 개념의 발명질 들뢰즈(1925~1995)는 (1991)에서 ‘철학의 쓸모’를 묻는다. 그가 국가 박사학위 논문인 을 출판한 것이 1968년이고, 주요 저작 중 하나인 이 1980년에 쓰여졌음을 고려한다면 말년의 시기에 좀 생뚱맞은 질문이 아닐 수 없다. 노년에 들어서 철학에 대한 회의를 품게 된 것일까? 하지만, 고리타분할 것 같은 제목의 책에서 그는 철학의 고유한 임무란 “개념들을 형성하고, 창안하고, 만드는 기술”이며, 이는 또한 아주 구체적인 ‘질문의 발견’과 연결되어 있음을 도전적으로 상기시킨다.철학에 대한 들뢰즈의 정의에 비춰보면, 스피노자는 일평생을 철학적으로 살아온 철학자이다. 그의 철학은 ‘개념들의 발명’으로 점철되어 있으며, 스스로가 발명한 .. 2019. 10. 4.
리토르넬로 - 콧노래 혹은 흥얼거림 리토르넬로 - 콧노래 혹은 흥얼거림: 가장 강력한 영토적 배치물 리토르넬로(Ritornello)는 악곡 형식으로 차이나는 반복의 형식으로 하나의 영토를 형성한다. 들뢰즈는 '새의 지저귐'을 리토르넬로의 대표적인 사례로 보여준다. 새는 지속적인 노래를 통해서 이곳이 자신의 영토임을 드러낸다. 그렇다면 인간은? 인간에게 있어서 자신의 영토성을 드러내는 리토르넬로는 무엇일까? 새처럼 노래는 부르지는 않지만 우리 역시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의 영토성을 확보한다. 들뢰즈는 영토란 '환경과 리듬'을 영토화했을 때 가능하다고 말한다. 여기서 딱 떠오르는 것이 바로 흥얼거림 또는 콧노래이다. 콧노래를 부를 수 있는 사람을 떠올려보자. 아마도 그 사람은 그 공간에서 가장 큰 힘을 갖고 있는 사람일 경우가 많다.사장이 아닌.. 2019. 10. 3.
‘되기devenir’의 실제적 기술에 관하여 ‘되기devenir’의 실제적 기술에 관하여: , 10고원 되기 남성의 생성들은 그토록 많은데 왜 남성-되기는 없는 것일까? 그것은 우선 남성이 유달리 다수적인 반면 생성들은 소수적이며 모든 생성은 소수자-되기이기 때문이다. …… 세상에서의 다수성은 남성의 권리나 권력을 이미 주어진 것으로 전제한다. 바로 이런 의미에서 여성, 아이, 그리고 동물, 식물, 분자는 소수파이다. 아마도 남성-기준과 관련한 여성의 특별한 위치가 소수파 그 자체인 모든 생성들이 여성-되기를 통과하도록 만드는 것 같다. (, 551쪽) ‘되기’란 프랑스어 devenir로 ‘~이 되다’라는 것인데, 들뢰즈/가타리의 ‘되기’에 ‘남성-되기’란 없다. 그렇다면, ‘되기’가 그냥 아무 것이나 되는 것이 아님이 확실하다. 왜 남성-되기는 .. 2019. 9. 27.
필연 혹은 우연 필연 혹은 우연: 1부 정리 16 ~ 36 운명인가 은혜인가내가 대학교를 졸업한 것은 IMF가 터지고 난 직후였고, 어디에도 취직할 곳이 없어 대학원에 진학했다. 그것도 개교 이래 처음으로 본과 학생이 대학원 입학에 떨어지는 초유의 기록을 세우면서, 어쩔 수 없이 다른 학교 대학원에 입학하게 되었다. 예상되듯이, 나에게 배정된 지도교수는 이제 갓 교수가 된 초짜였고, 그 교수의 전공은 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고 아무도 가고 싶어하지 않은 뿐더러 인기라곤 1도 없었다. 대학원 1학기를 지날 때만 해도 우울한 나날이었다. 어떻게 본 대학원에서 떨어질 수 있는건지 알 수 없었고, 전혀 관심도 없는 세부 전공에 공부도 하기 싫었다. 그런데, 우울했던 대학원의 나날과는 상관없이 대학원을 졸업하고 취업을 하는 시점에.. 2019. 9. 20.
분자-되기 분자-되기: , 10고원 즉, 모든 생성은 이미 분자적이다. …… 생성은 누군가가 가진 형식들, 누군가가 속해 있는 주체, 누군가가 소유하고 있는 기관들, 또 누군가가 수행하고 있는 기능들에서 시작해서 입자들을 추출하는 일이다. 그리고 우리는 이 입자들 사이에 운동과 정지, 빠름과 느림의 관계들을, 누군가가 지금 되려고 하는 것에 가장 가까우며 그것들을 통해 누군가가 생성하는 그런 관계들을 새로이 만들어낸다. 바로 이런 의미에서, 생성은 욕망의 과정이다. p.517 들뢰즈는 ‘되기’의 시작을 ‘동물-되기’부터 시작되었지만, 모든 되기는 “이미 분자적이다.” 여기서 분자적이라는 것은 단순히 작은 입자, 정체성을 가질 수 없는 ‘지각할 수 없는 것’을 넘어선다. 8, 9 고원에서 점과 선에 대해서 이야기했던.. 2019. 9. 6.
되기devenir : 사이 존재들 되기devenir : 사이 존재들: 들뢰즈/가타리, , 10고원 되기(=생성)는 결코 관계 상호간의 대응이 아니다. 그렇다고 해서 유사성도, 모방도, 더욱이 동일화도 아니다. …… 그러나 생성한다는 것은 계열을 따라 진보하는 것도 아니고 퇴행하는 것도 아니다. 그리고 특히 되기는 상상 속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 동물-되기는 꿈이 아니며 환상도 아니다. 되기는 완전히 실재적이다. …… 이 되기는 자기 자신 외에는 아무 것도 생산하지 않는다. …… 실제적인 것은 생성 그 자체, 생성의 블록이지 생성하는 자가 이행해가는, 고정된 것으로 상정된 몇 개의 항이 아니다. p. 452 유사성도, 모방도, 동일화도 아니다들뢰즈를 공부하지 않았음에도 친숙하게 느끼는 것은 그가 발명해낸 개념들이 아무렇지도 않게 .. 2019. 9. 5.
어찌됐든 소 키우는 사람이 필요하다 어찌됐든 소 키우는 사람이 필요하다 上无爲也,下亦无爲也,是下與上同德,下與上同德則不臣. 下有爲也,上亦有爲也,是上與下同德,上與下同德則不主. 上必无爲而用天下,下必有爲爲天下用,此不亦之道也. 위에서 무위하고 아래에서 무위하면 이것은 아래에서 위와 덕을 같이 하는 것인데 아래에서 위와 덕을 같이하면 신하 노릇을 하지 않는 것이다. 아래에서 유위하고 위 역시 유위하면 이것은 위에서 아래와 도를 같이 하는 것인데 위에서 아래와 더불어 도를 같이하면 군주 노릇을 하지 않는 것이다. 위에서는 반드시 무위하여 천하를 부리고 아래에서는 반드시 유위하여 천하에 의해 부려져여 한다. 이것은 바뀔 수 없는 도이다. (, 천도편, p.350) 고대 그리스의 페리클레스는 30년이 넘는 기간동안 최고의 정치 지도자 자리에 있으면서 아테.. 2019. 8. 18.
장자, 알고보니 공자 서포터즈? 장자, 알고보니 공자 서포터즈?: , 외편 무군파 “성인이 생겨나면 큰 도둑이 일어난다”는 속담이 있다. 성인을 치고 도둑을 해방시켜 줄 때 비로소 천하는 다스려 진다. 대저 강이 말라 버리면 골짜기가 텅 비고 언덕이 평평해지면 못(의 물)이 가득해진다. (마찬가지로) 성인이 죽으면 큰도둑이 일어나지 못하게 되고, 천하가 평화롭고 무사하게 되리라. (그러나) 성인이 죽지 않으면 큰도둑이 없어지지 않는다. 비록 성인을 존중하고 천하를 다스린다해도 결국 그것은 도척 같은 인간을 존중하고 이롭게 하는 셈이 된다. (, 외편 거협, p.271) ‘도적이 나타나는 것은 성인이 있기 때문이기에, 성인이 죽으면 도둑이 없어지고 천하가 평화롭고 무사하게 되리라’는 말을 듣고 있으면, 장자 철학은 완전히 유가의 반대편에.. 2019. 8. 18.
17세기의 메커니즘 17세기의 메커니즘 1656년 7월 27일, 그때까지 한 권의 책도 출판하지 않았으며, 그 어떤 소논문도 쓰지 않았던 23살의 한 포르투갈계 네덜란드 유대인이 공동체에서 추방당했다. 그 당시 유대인 공동체에 헤렘(파문)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이처럼 가혹한 파문의 내용을 포함한 적은 없었다. 게다가 대부분의 금지령과 달리 이 유대인의 파문은 결코 폐기되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 유대인의 사상이 자신들의 공동체를 위험에 처할 수 있게 만들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여호수아가 예리코를 저주했던 그 저주로 그를 저주한다. 엘리사가 소년들을 저주했던 그 저주로 그를 저주한다. 율법 책에 쓰여 있는 있는 모든 징벌로 저주한다. 낮에도 저주받을 것이며, 밤에도 저주받을 것이다. 누울 때 저주받을 것이며, 일어.. 2019. 8. 13.
스피노자 읽기와 공동체 스피노자 읽기와 공동체: 2019년 퇴근길대중지성 2학기 1학기 : 관계적 개인의 발견 - 일상의 리듬을 구성하자2학기 : 공동체적 자아의 회복 - 새로운 무리짓기(의 기술) 20세기에 푸코가 근대를 구성하는 중요한 근대적 개념들(광기, 감옥, 성, 개인, 국가, 권력)에 대해 회의주의적 시선으로 비판적 성찰을 시도했다면, 17세기 스피노자는 종교에서 과학으로, 신정에서 근대국가로의 변화 속에서 ‘공동체와 개인’에 대한 전혀 다른 개념을 ‘발명’해냈다. 근대의 탄생과 동시에 反근대적인 정치철학을 혹은 근대를 통과하지 않고서 탈근대적인 철학을 시도했다. 스피노자의 개념을 파악하는 것은 상당히 까다롭다. '기하학적으로 증명된' 를 보다보면 쉽게 자신의 모습을 보여주지 않으려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하지만.. 2019. 7. 31.
장자는 반지성주의자인가 장자는 반지성주의자인가: 양생주, 인간세 양생주(養生主) : 吾生也有涯,而知也无涯 (오생야유애 이지야무애) 以有涯隨無涯(이유애수무애) 始已(태이) 已而爲知者殆而已矣(이이위지자태이이의) 우리 삶에는 끝이 있지만 지식에는 끝이 없다. 끝이 있는 것으로서 끝이 없는 것을 좇으면 위태로울 뿐이다. 그런데도 알려고 한다면 더욱 위태로울 뿐이다.인간세(人間世) : 德蕩乎名 知出乎爭 名也者 相軋也 (덕탕호명 지출호쟁 명야자 상알야 ) 知者也 爭之器也 (지지야 쟁지기야) 덕은 명예심 때문에 녹아 없어지고, 지식은 경쟁심에서 생긴다. 명예란 서로 헐뜯는 것이며, 지식이란 다투기 위한 도구이다. ‘참된 삶’을 논한다는 양생주의 첫 시작부터 장자는 ‘지식’에 대한 염려를 보여준다. 지식을 좇는 것은 위태롭고 위태롭다고. 양.. 2019. 7. 18.
드러나지 않는 덕 드러나지 않는 덕: 덕충부 14形全猶足以爲爾(형전유족이위이) 而況全德之人乎(이황전덕지인호) … 是必才全而德不形者也몸(外形)을 온전히 갖고 있는 자들도 이렇게 하는데, 하물며 덕을 온전히 갖춘 사람이라면. 이는 필경 재능이 온전하고 덕이 겉에 나타나지 않는 일물일 겁니다.16何爲德不形…德者成和之修也 德不形者 物不能離也 (하위덕불형...덕자성화지수야 덕불형자 물불능리야)덕이 드러나지 않는다는 것이 무엇입니까? 덕은 사물의 조화가 잘 이루어진 상태입니다. 덕이 드러나지 않기에 사람들이 따르는 것입니다. 한 번 꼬고, 다시 한 번 비틀고. 가 딱 그렇다. 기본적인 스토리 자체가 패러디처럼 펼쳐지는데, 패러디 된 내용은 생각처럼 잘 이해되지 않는다. 내편의 제5권인 덕충부德充符 역시 그렇다. 덕충부란 ‘덕이 충만.. 2019. 7. 18.
청소년 북톡(Booktalk) 프로젝트 : 불확실성 시대의 새로운 영웅 청소년 북톡(Booktalk) 프로젝트 : 북콘서트불확실성 시대의 새로운 영웅 : 어벤져스 또는 오뒷세우스 2019년 올해는 신기하게도 중고등학교에서 강의를 할 일이 꽤 많았다. 5월에는 용인에 있는 소명중고등학교에서 "읽기와 영성"이란 주제로 이야기를 나누었고, 광주에 있는 푸른숲발도르프에서는 1학기동안 호메로스의 읽기를 진행했고, 2학기에는 혹은 플라톤을 읽어볼 생각이다. 사실 인문학 관련된 강의를 하면서 가장 힘들면서도 또한 이야기 나누고 싶은 연령대가 10대이다. 10대에 인문학을 공부하면서 생각할 수 있고, 질문할 수 있다면 분명 삶이 달라질 것이다. 동시에 10대들은 무슨 이야기를 해도 시큰둥하고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그리 높지 않다. ^^; 지난 5월 춘천시립청소년도서관에서 그리스비극을 강의.. 2019. 7. 12.
23 아이덴티티를 넘어 얼굴 해체하기 23 아이덴티티를 넘어 얼굴 해체하기: , 7고원 얼굴성 경련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얼굴의 주권적인 조직화에서 벗어나려 하는 얼굴성의 특징과 이 특징 위에서 갇히고 그것을 다시 붙잡고 그것의 도주선을 봉쇄하고 그것을 다시 조직화하는 얼굴 그 자체 사이에서 벌어지는, 언제나 다시 시작되는 싸움이다. (들뢰즈/가타리, , 357쪽) 고등학교를 입학하고 얼마 되지 않았을 때였다. 쉬는 시간을 넘겨서까지 놀다가 걸린 친구들이 있었다. 회초리 한 대쯤으로 끝날 단순한 일이었다. 그런데, 친구 중 하나가 선생님 얼굴을 보면서 ‘실실’ 웃었던 것 같다. 간단하게 꿀밤이나 회초리 한 대로 끝났어야 할 일이 ‘사건’으로 바뀌었다. “웃어?”라고 말하면서 선생님은 친구에게 다가갔고, 회초리가 아니라 손바닥으로 그 아이의 .. 2019. 7. 12.
소규모아카시아밴드 요즘엔 글보다 노래를 올리는 경우가 더 많은 것 같다. 왜지? ^^ 2019년부터 '마을공유지-파지사유'에서 매니저를 하고 있는데, 매주 금요일마다 음악을 틀어주게 되어서 그런지도 모르겠다. 지난주에는 Blind Music이라는 이름으로 어떤 음악을 틀지 이야기 하지 않고, "소규모아카시아밴드"의 노래를 들었다. 오래 전부터 거기 있었을 것 같은 담백한 음색의 보컬과 소박하다고 해야할까 아니면 담백하다고 해야할지 모를 기타소리에 맞추어 2시간동안 음악을 들었다. 10년 전 기억이 음악을 타고 나를 통과해가는 느낌이었다. 자주 들어야겠다. 좋다. 참 좋다. 좋은 음악이다. 2019. 5. 5.
2019년 5월 인문아카데미 "비극의 윤리와 예술의 정치" 춘천시립청소년도서관,2019년 5월 인문아카데미 *처음 가는 곳에서 강의를 하게 되면, 1순위로 "그리스 비극" 읽기를 제안한다.고통, 질병, 슬픔, 괴로움, 죽음을 없애버려야 할 것으로 여기는 21세기에 가장 필요한 것은고통과 죽음과 함께 살아가는 지혜인 듯하기 때문이다.고통과 죽음을 해석하는 공동체만의 기술이 필요하다. 2019. 4. 28.
정신 공간의 분수령 3부에 나오는 '정신 공간의 틀'. 이반 일리치는 12세기에 비주얼 텍스트의 탄생과 함께 평민 문자문화(lay literacy)가 만들어졌고, 20세기까지도 이런 정신 공간의 틀을 유지했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20세기 후반에 새로운 정신 공간으로의 변화가 나타난다고 말한다. 일명 컴퓨터 문자문화(computer literacy). 정신 공간의 틀이 다르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좀 더 확연하게 살펴보기 위해서 몇 가지 예를 들어봄. 1) 거짓말이 없는 세계 - 호메로스(구전문화)의 시대 일리치가 말하는 정신공간의 틀을 따라가다 보면 거짓말, 자아, 개성이라는 것은 평민 문자문화의 영향 아래서 발명된 것들이다. 알파벳이 없었더라면 거짓말이라는 것도 없었을 것이라고 말한다. 거짓말이 없는 세계가 가능할까? 혹.. 2019. 4.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