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강) 7개의 개념으로 살펴보는 <천개의 고원> 다섯번째
들뢰즈의 전쟁기계(2/21)
: 구술성과 문자성으로 살펴본 <천개의 고원> 12고원 : 유목론 또는 전쟁 기계
2/21(금), 저녁 7:45 ~
https://cafe.naver.com/afterworklab/1387
들뢰즈/가타리는 ‘전쟁 기계’라는 개념 속에서 무엇을 말하고 싶은 것일까? 되기, 얼굴성, 리토르넬로, 기관 없는 몸체, 리좀을 떠올려보면, 이것 역시 생성과 창조과 연결되어 있음이 틀림없다. 국가와 대립되는 것으로서의 전쟁 기계는 동일성과 불변성에 대항하는 모든 행위들을 말한다. 그렇기에 어떤 존재, 행위, 모임, 놀이, 책, 개념이든 전쟁 기계가 될 수 있다. 현재의 영토를 벗어나 탈영토화를 만들 수 있는 어떤 것이든지 전쟁 기계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전쟁 기계라고 해서 항상 폭력으로 물드는 것은 아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지만 언제든지 현재의 질서를 무너뜨리고 새로운 생성으로 나아갈 수 있는 존재로 머문다면, 그 존재 자체는 ‘절대적 폭력’ 혹은 ‘폭력 없는 폭력’이 될 수 있다. 소크라테스의 경우는 극명하게 자신의 존재 자체가 ‘전쟁 기계’였음을 보여준다. 그가 한 일이라곤 시장바닦에서 사람들과 대화하고 밥을 먹었을 뿐인데, 결국은 아무것도 하지 않지만 모든 것을 행하고 있던 소크라테스의 위험성에 시민들은 사형선고를 내렸다.
어떤 것을 해도 변하지 않을 것 같은 무력감이 드는 시대, 생성의 삶을 수련하는 새로운 비급(祕笈)으로 전쟁기계를 살펴보자.
공리 1 - 전쟁 기계는 국가 장치 외부에 존재한다. (671쪽)
...
국가 자체는 전쟁 기계를 갖고 있지 않다. 국가는 단지 군사 제도 형태로서만 전쟁 기계를 전유할 수 있지만 이 전쟁 기계는 끊임없이 국가에 문제를 제기한다. 이처럼 외부에서 유래한 전쟁 기계를 계승하고 있는 군사 제도를 국가가 경계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678쪽)
절편적 원시 사회는 흔히 국가가 존재하지 않는 사회, 즉 분명한 권력 기관들이 출현하지 않은 사회로 정의되어왔다. ... 따라서 당연히 원시 사회의 사람들은 이처럼 복잡한 장치를 "이해"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클라스트르의 학설에서 가장 흥미로운 점은 이러한 진화론적 기본 전제와 단절한 데 있다. 그는 국가가 특정한 경제 발전의 산물임을 의심할 뿐아니라 원시인들은 이해하지도 못했다고 간주되고 있는 이 국가라는 괴물은 저지 또는 예방하는 것이 실제로는 원시 사회의 잠재적인 관심사는 아니었으까 자문하고 있는 것이다. (683쪽)
유목민이 전쟁 기계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은 이들이 절대 속도를 발명하고 속도와 “동의어”가 되었기 때문이다. 불복종 행위, 봉기, 게릴라전 또는 행동으로서의 혁명이라는 반국가적 움직임이 있을 때마다 전쟁 기계가 부활하고 새로운 유목적인 잠재 세력이 출현해 매끈한 공간이 재구성되거나 또는 마치 매끈한 공간에 있는 것처럼 공간 속에 존재하는 방식이 재구성된다고 할 수 있다. (742쪽)
◆ 제목 : 들뢰즈의 전쟁기계 (2/21)
: 구술성과 문자성으로 살펴본 <천개의 고원> 12고원 : 유목론 또는 전쟁기계
◆ 일정 : 2025. 2. 21(금), 저녁 7:45~10:00
◆ 강사 : 홍차 (홍영택, 인문학실험실-루바토)
◆ 방식 : 온라인(줌) 강의
◆ 정원 : 20명 (최소인원 3명)
◆ 회비 : 2만원
◆ 신청 : 아래 사이트에서 댓글로 신청해주세요. 처음 참여하시는 분들은 댓글에 간단한 자기소개 및 연락처를 남겨주세요.
https://cafe.naver.com/afterworklab/1387
특강모집) 들뢰즈의 전쟁 기계 (2/21)
특강) 7개의 개념으로 살펴보는 <천개의 고원> 다섯번째 들뢰즈의 전쟁기계(2/21) : 구술성과 문자성으로 살펴본 <천개의 고원> 12고원 : 유목론 또는 전쟁 기계 ...
cafe.naver.com
'강의 & 세미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집) 필사 세미나 시즌1 - <논어> 읽기(3/7~) (1) | 2025.01.27 |
---|---|
모집) 라캉읽기 시즌1 - 라캉과 무의식(3/18) (0) | 2025.01.27 |
모집) 새벽낭독 - <비극의 탄생>(12/16~) (1) | 2024.12.03 |
모집) 라캉 읽기 시즌 00 - 프로이트로 돌아가자 1 (1) | 2024.12.03 |
특강모집) 들뢰즈의 리좀 (2025. 1. 10) (0) | 2024.1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