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루스트 읽기

악의 평범성(banality of evil)과 프루스트

by 홍차영차 2024. 1. 24.

얼마전 페이스북에서 한나 아렌트의 'banality of evil'의 '악의 평범성'으로 번역해서는 안된다는 비판을 봤다.

한나 아렌트가 아이히만을 보면서 banality of evil이라고 말하는 것은 악은 평범한 누구나 저지를 수 있다가 아니라 '악과 사유능력'과의 관계를 지적하기 위해서였다는 점을 지적했다. 즉 banality라는 말을 '평범성'이라는 말로 번역하면서 오해가 생긴다는 말이었다.

사실 '악은 평범한 누구나 저지를 수 있다'라는 말과 '아무 생각없이 행동하면 - 피상적으로밖에 생각하면' 평범한 누구라도 악을 저지를 수 있다는 말은 별로 차이가 없어 보인다. 대중적인 번역으로 이것보다 더 좋은 번역은 없지 않을까 생각했지만 생각해볼수록 좀 더 감각적인 말로 표현했더라면 하는 생각이 들었다.

banality라는 말은 네이버 사전을 찾아보면 아래처럼 나온다.

 

따분함, 시시한 말[일]

the banality of modern city life (현대 도시 생활의 따분함)

지루하고 반복적이고 변화가 없어서 생기는 따분함, 일상을 다르게 보지 못해서 생기는 시시한 마음, 조금 더 가보면 아무런 생각없이 내뱉는 진부한 표현들때문에 '잃어버린 삶의 생생함'까지 생각해볼 수 있다. 여기까지 생각하다보니 갑자기 프루스트가 말했던 클리세(cliche) 진부한 표현에 대한 극도의 혐오가 떠올랐다.

'장대처럼 내리는 비', '찬란한 태양', ''선홍빛 피'라는 너무나 자주 쓰는 표현들을 떠올려보라. 정말 지금 내리는 이 비가 '장대'처럼 내려서 이런 표현을 쓰는걸까? 또, '선홍빛'이라는 것이 어떤 색인지는 알고 있을까? 진부한 표현, 따분함을 일으키는 사유들은 그 사건과 사물을 피상적으로밖에 나타내지 못한다. 아니 인간을 아무런 생각없이 작동하는 기계처럼 만들뿐이다.

쪼금만 더 가보자.

이런 진부한 표현, 아무런 생각없는 이런 말과 행동들이 왜 자꾸만 나올까? 아마도 스스로의 감각에 대한 자신감 아니 신뢰감이 없기 때문이다. 이전에 다른 사람이 썼던 표현들, 누구나 알 수 있는 방식으로 했을 때의 안정감과 안전을 추구하기 때문이 아닐까. 프루스트가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전체를 통해서 말하고자 했던 것은 어떤 의미에서 한나 아렌트의 'banality of evil'과 연결되어 있는 것 같다.

아무도 이해할 수 없는 기괴한 말을 일부러 찾자는 말로 오해하지 말자. 정말로 내가 느끼고 있는 그대로를 솔직하게 표현해보자. 적확한게 표현할 단어가 없을 때, 색깔이 없을 때, 소리가 없을 때에는 그 표현방법을 발명하면 된다. 나이 80에 처음 배운 할머니가 한글로 지은 시들을 읽어보라. 너무나 진부하게 보이는 단어들(고추장, 학교, 송아지 같은)에서 보이는 생생함과 역동은 할머니가 그 단어속에서 자신을 다시 발견했기 때문이 아닐까?

 

(말은 항상 말은 낳는다. 끊이지 않는 말들)

스스로의 감각을 신뢰하라는 말을 '반지성주의'로 오해해서도 안 된다. 역설적이지만 제대로 감각하기 위해서는 더 많이 읽고 쓰고 보고 듣고 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보면 음악에서 보면 도-파 4도는 피타고라스 시대부터 '완전 4도'라고 불렸다. 말 그대로 완전(perfect)하기 때문에 '완전4도'로 불렸다. 그래서 그리스 시대부터 1도, 4도, 5도, 8도는 완전한 음이기 때문에 거의 처름부터 협화음, 조화로운 음이라고 불렀고, 모든 종교에서도 허락됐다. 1도는 '도-도' 같은 음이고, 도-(옥타브)도는 주파수만 두배가 된 음이기 때문에 당연하게 완전하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도-솔 5도는 자연배음에도 '도'를 누르면 도 이외에 거의 바로 음이기 때문에, 도를 누를 때 '솔'이 같이 들린다. 이것 역시 자연스럽게 '완전'이라고 부를수 있다.

'도-파' 4도는 이야기가 좀 다르다. 4도가 완전 4도로 불려지게 된 것은 피타고라스의 조율법에 따른 방식 때문이다. 음악이 먼저인가 철학이 먼저인가는 중요하지 않다. (이 시대에는 총체적이었기때문이다.) 피타고라스 철학에서는 수와 비율이 중요하다. 1:2, 2:3, 4:5라는 간단한 비는 올바른 것이고 13:45, 39:72와 같은 복잡한(?) 비율들은 옳지 않은 것들이다. 그러면 음악에서는 이게 좀 더 확실하게 나타난다. 1도는 1:1, 8도는 옥타브이기 때문에 1:2가 된다. 너무나 간단한 비율, 아름답고 완전한 비율! 이 외에 나오는 것 2:3으로 나오는 5도, 그리고 4:5로 나오는 4도가 된다. 수학적으로, 철학적으로 완전하기 때문에 당연히 1, 4, 5, 8도는 완전한 음이고, 조화로운 협화음이 되었다.

자연배음

 

그런데 이런 음정을 오로지 소리로만 보면 어떻게 될까? 자연배음상에서 1, 5, 8도는 역시 완전하다고 할 수 있다. 자연배음에서 '도'를 치게 되면 대부부의 음들이 들어 있다. 하지만 악보에서 보듯이 파는 16번째 배음까지도 들리지 않는다. 소리 자체만으로 볼 때 도-파(4도)는 완전이라고 부를 수 없다. 하지만 우리는 그렇게 배워왔고, 오랫동안 그렇게 들었기 때문에 도-파(4)도를 들으면 완전하다 혹은 협화음이라고 말하게 된다.

댓글